오해가 의심을 낳고, 의심이 미움을 불렀다.


조선 CSI, 별순검.

형사, 화학자, 검시관, 약사였던 이들의 이야기이다. 왕권 중심의, 권력자의 역사보다는 그 시대를 살았던 보통사람들의 생활로 파고든 역사이기도 하고. 이렇게 괜찮은 장르드라마를 공중파가 아닌 케이블에서 봐야 한다는 건 조금 안타깝지만.

우리 역사에서 조선은 아픔없이는 떠올리기 힘든 시대다. 홍익인간이념 하나로 잘 알지도 못하면서 괜히 뿌듯한 고조선, 빛나는 문화유산, 각각 다른 개성을 자랑하는 삼국시대. 그래도 꿀리지는 않았던 고려에 비해 중국에 치여, 일본에 얻어터져. 안으로는 당쟁을 지나 신분제의 동요에, 밀려드는 열강에 대해서는 쇄국에. 시간을 돌리는 힘이 있다면 현재의 과학기술을 가지고 출산장려정책+십만양병설로라도 어떻게 좀 해보고 싶은 그런 시대. 그 시대다.

작가들이 조선을 다룬 책이라면 가리지 않고 샅샅이 뒤지며 열심히 만든 드라마라더니 과연, 그때의 습속같은 것도 재미있게 볼 수 있다. 장터에서 우의를 다지기 위해 옷을 바꿔입었다는 건 꼭 축구선수들이 경기 끝난 후 유니폼 바꿔입는 것 같고. :)

이 드라마 떴으면 좋겠다. 그래서 앞으로 이런 드라마 많아졌으면 좋겠다. 그 시대를 조금은 다양한 마음으로 친근하게 떠올릴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궁금하기도 하고 아쉬운 것이 그 시대, 계급이 위태롭기도 하고 온건하기도 한 복잡함 같은 게 팀원들 안에선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느낌상 배복근은 상놈이나 평민이었을 것 같고, 김강우는 몰락한 양반집 자제였을 것 같은데... 이런 관계에서 드러나는 갈등이나 긴장감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황혜령 작가: 맞다, 그런데 머리로는 알아도 터치를 잘 못하고 넘어간 부분도 있어서. 배복근은 포도청 포졸 출신으로 잔뼈가 굵은 사람이고 김강우는 중인 집안의 막내아들이란 게 우리 설정이다. 강승조는 대대로 무관을 낸 집안의 아들이고 여진은 역적의 딸이고. 관비는 대체로 역적의 딸 아니면 살인자의 딸이더라. (웃음)

정윤정 작가: 우리도 그게 딜레마인데, 그런 게 있으면 네 명의 작은 드라마가 되는데 수사에 집중하다보니까 그걸 못 살렸다.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선택에서 제외된 것이다. 그런 부분들이 녹여내기가 힘들다. 아무리 시대가 그래도 계급이 존재하지 않을 수는 없는데 사실 별순검이라는 저 조직 자체가 판타지다. 세상에 저런 관계의 조직이 어디 있어. (웃음)
-매거진 T 기사중에서.

별순검 101,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매거진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