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haikovsky: Symphony no.6 "Pathétique"




사용자 삽입 이미지

Mikhail Petnev/Russian National Orchestra/Virgin/1991 (44:29)
Carlo Maria Giulini/Los Angeles Philharmonic Orchestra/DG/1981 (46:35)
Guido Cantelli/Philharmonia Orchestra/Testament/1952  (42:54)
Mikhail Petnev/Russian National Orchestra/DG/1995  (45:57)
Evegeny Mravinsky/Leningrad Philharmonnic Orchestra/DG/1978  (43:46)
  Herbert von Karajan/Berliner Philharmoniker/DG                        


엄마는 오빠와 내가 각각 초등학교 5학년 쯤 됐을 때마다 음악사에 데려가서는 하나씩 테입을 사주셨다. 그렇게 갖게 된 내 소유의 첫 테입은 유재하였다. 엄마는 별로 마음에 안들어했지만. 아마 내심 클래식을 고르길 바라셨던 것 같다. 그 기대에 맞게도 오빠는 처음엔 합창(카라얀), 그 다음엔 전원(뵘), 그리고 비창(카라얀)순으로 아주 착실하게도 성음의 시리즈를 열었다.

오빠가 매니아의 기질/수집가의 성향을 타고 났다면 그 덕에 나도 이거저거 들어볼 수 있었을텐데. 오빠는 뭐든 하나 있으면 지겹지도 않고 질리지도 않는지 전혀 레퍼토리를 늘리지 않는 타입이고, 나는 더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들에 정신이 팔려 있었으므로 어쨌든 둘 다 지겹게도 저 세 개의 교향곡과 몇 개의 협주곡을 반복해 들었다.

덕분에 내 머릿속에는 카라얀의 지휘가 일종의 표준연주로 각인이 되어 있어서 어떤 씨디를 들어도 그 느낌이 안 나 다시 카라얀을 사야되나...하던 차에 내 포스트를 보고 한 블로그 이웃이 그렇다면 쥴리니를 들어보는 게 어떠냐며 갖고 있던 (이미 폐반된)쥴리니의 음반을 선물로 주었다. 당연히 기대가 높았으나...그것도 아닌 것 같았다.

거기서 또 2 년이 흘러, 이번에 오빠방에서 먼지 쌓인 카라얀의 테입을 찾아냈고, 한 달 동안 틈틈이 여섯 개의 연주를 돌아가며 들어보았다. 지금의 나는 조금만 주의를 집중하면 머릿속에서 비창이 끊임없이 흘러갈 정도다.

그런데 들으면서 다시 생각해 보았다.
Pathétique.
정말?

디테일까지 외워 버릴 정도로 들었지만 단 한번도 슬프거나 울고 싶을 정도로 공감한 적은 없다. 이건 이상하다. 슬프기는 커녕 3악장에서는 팔까지 휘두르고 발로 박자를 맞추고 있잖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Sergiu Celibidache/Münchner Phiharmoniker/EMI/1992  (57:39)


첼리비다케를 두고 누가 그렇게 말해놨더라. "통곡하지 않고 흐느끼는 무거운 연주"라고. 번스타인과 스베틀라노프(아울로스)를 추천하면서는 "추운 겨울에 눈보라 속에서 울고 있는 느낌의 연주" 란다. 그래서 첼리비다케를 골랐다. 한 달 들었으면 됐다, 더 들어도 여기서 달라지는 건 없을꺼니까 다른 걸 들어보자는 내 나름대로의 돌파구였던 셈이다.

위의 연주들을 들으면서는 Pathétique이라는 표제만 없다면 3 악장이 끝이다-라고 생각했다. 첼리비다케는 다르다. 전체적으로 느릿하고 거기에서 오는 긴장감이 4 개의 악장 모두에 깔려 있어 곡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밤에 헤드폰을 끼고 누우면 영화음악을 듣는 것 같이, 대사없는 오페라를 보는 것 같이, 서로 화답하고 고조되며 울부짖는 듯한 느낌까지 선명하다.

지금의 나는 마치 유행가를 너무 많이 들어 가사가 입에서 줄줄 흘러나오면서도 정작 그 노래가 전달하려는 정서는 느낄 수 없는 상태와도 비슷한 것 같지만, 언젠가 다시 비창을 듣고 싶어질 때 꺼내게 되는 것은 아마도 첼리비다케일 거라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