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umann: Piano quintet op.44 & String quartet op.41



몇 년 만에 듣는 슈만 피아노5중주 & 현사인가!!!
딱 짧게, 얼마만의 뭐뭐인가! 로 끝나야 되는 문장인데 뭐뭐에 들어간 게 기니까 글맛이 떨어진다 -_-
그리고, 몇 년 만이 아닌 게 대체 뭐냐. -_- 몽땅 다 몇 년만에 듣는단다.


근데 이건 어쩔 수 없는 게 누굴 빌려줬다가 그 사람과의 관계가 끝나면서 돌려받을 수 없게 된 경우다. 내 손을 떠난 씨디지만, 나름 좋아하는 곡이고 그보다는 좋아하는 연주라, 생각나서 찾을 때마다 으윽거리다 얼마전에 풍월당에 갔을 때 폐반되었다는 얘기를 듣고 더 늑장부리다간 영영 빠이빠이겠구나 싶어 인터넷을 뒤져 딱 한 장 남아있던 걸 건졌다. \(´ ∇`)ノ

지난 달 티비 켤 때마다 7인의 음악인들-이라고 해서 김선욱,양성원,송영훈,정명훈,최은식,김수연,이유라의 공연광고가 계속 나왔는데, 그 배경음악이 이 슈만 피아노 5중주라 더 듣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슈만이 가장 행복했을 거라 말들 하는 시절, 클라라와 결혼하고 나서 작곡한 음악. 시원하게 총주로 시작해 첼로와 바이올린이 주제를 연주하며 주거니 받거니 어우러지는 5중주부터 풍부하고 아름답지만 중간중간 긁어내리며 불협을 만들어내기도 하는 현사까지 다 들으면 왜 고전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결국 실내악으로 귀결되는지를 알 것 같다. 요즘 읽고 있는 책에서도 어찌나 실내악 예찬이 줄줄이 이어지는지. 내 경우엔 좀 다를 거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씨디자켓 그림은 Caspar David Friedrich의 그림이다. 이 사람 그림 중에는 베토벤 후기 피아노소나타 길렐스 반의 표지로 유명한 「북극해」가 있다. 프리드리히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이 연주에서 피아노를 친 폴 굴다는 프리드리히 굴다의 아들이다. 굴다는 천재라고들 하지만 이름이 비슷한 굴드가 쫌 더 유명하기 때문인지 굴드 짝퉁처럼;;; 인식되는 경우도 없지 않다.

부석사 갈 때 WTC를 프리드리히 굴다 버전으로 들었는데 터치에서 재즈 냄새가 나더라.
클래식은 피아노를 칠 때 거의 손가락 끝으로 친다. 그래서 피아노 학원에서도 늘 달걀을 하나 쥔 듯한 모양을 해라 손톱을 심하게 짧게 깎아라- 가르치는 거고. 나 같은 경우에는 손톱모양도 그렇고 첫번째 관절이 힘이 없어서 칠 때마다 관절이 미세하게 한번씩 꺾였다 펴지기 때문에 맑고 단단한 소리를 내기가 힘들다. 반면, 재즈는 주로 손가락의 지문부분으로 치게 된다. 마치 건반을 훑어내리듯이. 그러다 보면 나게 되는 독특한 느낌이 있는데 이걸 설명하기에는 내 언어가 너무 짧고. 굳이 표현하자면 싱코페이션에 가깝긴 하겠다. 이거 말고도 여러가지 이유로 클래식 연주자가 완전히 재즈 느낌을 내기도 쉽지 않고, 재즈 치던 사람이 완벽한 클래식을 하기도 어렵다. 하여간 굴다의 WTC에선 그 느낌이 났다.

그 연주는 mp3 파일로 예전에 받은 건데 년도를 확인해보니 72년 녹음이다. 생각난 김에 검색, 과연 굴다는 30대 후반부터 재즈에 심취했다고 한다. (굴다는 30년생) 72년이면 완전히 재즈로 돌아섰을 때다. 내가 그냥 들어도 알아들을 정도니 굴다라고 하면 애증을 드러내는 클래식팬들이 이해가 간다. (말이 애증이지 욕하는 사람들도 있다-_-) 그나마 바흐곡이었으니 괜찮았지만 만약 다른 작곡가의 곡에서도 그런 터치가 느껴지는거라면...? 음...

그건 그렇고. 이 곡에 관해서는 두개의 연주를 가지고 있다. 발매되던 해에 이슈를 불러일으키고 찬사를 받았던 제헤트마이어 쿼텟 음반과 이 하겐 쿼텟인데 둘 다 좋다. 어느 쪽이 더 좋냐고 말하면 좋은 연주라고 생각하는 건 하겐인데, 좋아하는 건 제헤트마이어쪽이 조금 더. 하겐이 정석적이고 정확한 연주를 들려준다면 제헤트마이어는 어디서 툭 튀어나온 다크호스; 같은 연주를 들려줘...그러니까 만화책 유리가면에서의 두 홍천녀랄까; 한쪽만 꼽기 아쉽게 좋아 하겐을 듣고 나면 꼭 제헤트마이어까지 들어야 다 들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걸 들을때마다 아... 이젠 슈만을 좀 알아가 볼까...하는 생각이 들다가도 이 놈의 천성적인 게으름 때문에, 그리고 얕고 얇은 호기심 때문에 딴 거 듣다보면 계속 미루게 된다. 지금 내 책상 위에는 이번 여름엔 쇼팽을 좀 들어볼까? 라는 호기심에 쌓아 놓은 쇼팽씨디가 둘 넷 여섯...16장이구나. -_- 같은 높이로 책도 쌓여있다는 것이 이 비극을 더 아름답게 만들어준다. 아흐-

여름 밤은 정말 음악을 듣기에 좋은 계절이다. 아쉽구나. 진작 진작 열심히 들을 걸. 후회의 콧물이 인중을 가린다. ㅠ_ㅠ


,

Bach: Well-Tempered Clavier. Sviatoslav Richter


#1.
지난 몇 년 간은 듣는 음악 레퍼토리가 매우 한정되어 있었는데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사용 빈도에 있어서, CD플레이어→아이팟으로 중심이 확 이동했기 때문이다.
만장 단위, 혹은 벽 단위로 씨디를 세는 중증환자들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나도 꽤나 많은 씨디를 갖고 있다보니 저걸 다 옮길 시간도 없고,
갖고 있을 하드용량도 부족해 맨날 듣는 것만 듣거나, 진짜 고픈 것만 듣거나.
(외장하드 구입을 진지하게 고려해보았으나 역시 가격,크기 대비 용량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 살까말까하련다)

두번째 이유는 씨디플레이어의 리모컨이 고장났다는 데에 있다.
내 씨디피(D-EJ2000)는 자체에 액정이 없어서 리모콘이 고장나면 대체 몇 번 트랙이 돌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아는 걸 들을때 or 걍 그러려니 하고 들으면 상관없는데 모르는 곡을 들을 땐
몇 번을 들어도
대체 지금 뭘 연주하는거야 -_-+ 
울컥울컥 하고 솟구치기 때문에 정신건강을 위해 팽개쳐놨었다.
얼마전에 아...이대로는 도저히 못살겠다!!! 걍 리모컨을 다시 샀다.


오랜만에 알아봤더니 용산에서 물어봤을 때보다 가격이 반으로 뚝 떨어졌다. (인터넷 만세!!)
혹시 소니CDP를 나와 같은 이유로 팽개쳐놓고 있는 사람들은 옥션이나 지마켓같은데서 검색해보시라.


#2.
6월말부터 7월말까지는 넋을 놓고 산 듯한 시간이었다.
자구책으로 WTC를 들었는데...
난 이걸 좋아하긴 하지만, 사실 이걸 들을 정도면 이미 상태가 심각하단 반증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건 나에게... 조율용 음악이기 때문이다. -_-

역시 아이팟에 있는 버전들만 듣다가 리모컨이 배송된 이후 씨디들을 듣기 시작했다.
그래서 정말 오랜만에 리히테르의 WTC를 들었다.

J.S.Bach: The Well-Tempered Clavier, BWV849-893

앨범표지는 전설과 음모가 도사리고 있을 듯 오바스럽다;;;


이 음반은 약간 목욕탕 울림이라고 할까.

사실 그리 좋은 녹음은 아니다. 그 이유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도 많고.
내 개인적으로는 어떤 기억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잘 안 듣기도 하고.

그 때만 해도 나는 이 연주를, 마치 스테인드글라스로 빛이 쏟아져 들어오는 성당 안 저쪽에서
성당이니까 파이프오르간이어야 할 것 같아도 걍 피아노라 치자.
누군가가 피아노를 치고 있는데, 그게 마치 나 한사람만을 위한 연주인 것처럼 느껴지는, 그런 연주라고 생각했었다.

근데 오랜만에 다시 이 연주를 들어 보니 그런 느낌보다는 아.. 이거 참 성실한 연주구나. 싶다.
초반에 몇 회 보다 엎은 선덕여왕에서 유신랑이 내려치기 천 번을 하다가
마지막에 흐트러졌다고 다시 1부터 시작하는 장면이 있었는데. 딱 그런 느낌이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아무도 보는 사람 없어도 자신에게 정직하게 한 곡 한 곡을 연주해 나간 흔적.

하긴, 이 음반은 총 4장의 씨디로 되어 있고 연주시간을 모두 합치면 4시간 반쯤 된다.
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만만한 일이 아니다.




,

Chopin & Nights


벌써 7월의 마지막 주다. 7월 한 달은 대체 어떻게 보낸 건지 모르겠다. 반쯤은 정신을 놓고 살았던 것 같고, 반쯤은 그걸 수습하며 살았다. 며칠간은 평균율을 들었고, 그 이후부터는 쇼팽을 들었다. 밤 10시에 침대에 누우면 한두시에 눈이 번쩍 떠져서 다시 잠이 오지 않았기 때문에 힘들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음악을 듣기 가장 좋은 시간이기도 했다.


Royal Festival Hall, London, 16 May 1961 (Piano Concerto No.2)
Concert Hall, Broadcasting House, London, 6 October 1959



오랜만에 듣는 쇼팽, 그러니까 오랜만에 듣는 루빈슈타인은 요즘의 피아니스트들과는 색깔이 확실하게 다르다. 물론 20세기에 활동했던 피아니스트들은 각자의 뚜렷한 개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대부분의 연주자들이 관객과는 분리된 견고하고 투명한 예술의 세계에서 노니는 것과는 다른 느낌으로.. 관객과의 눈높이를 맞추고 쇼를 보여주는 기분이랄까? 마치 디너가 제공되는 클럽에서 빅밴드와 함께 연주하는 재즈 뮤지션을 보는 것 같다. 미스터치도 많고, 막 내달리기도 하지만 청자에게 '당신은 지금 서비스를 제대로 받고 있다'는 걸 각인시키는 연주를 한다.

갖고 있는 책을 찾아보니 과연. 루빈슈타인은 연주에 대해 그런 가치관을 갖고 있었고, 그런 성격이었다고 한다. 아마 이 사람의 실연을 들은 사람들은 완벽한 건 아니었지만 묘하게 즐거운 연주였다고 소근대면서 나왔을 것이다.


,

오늘의 득템




학교 안 모 센터앞의 바자회에서,
그것도 다 팔리고 파장무렵의 남은 것들 중에서 건졌다.
가격은 장당 천 원, 한 장은 서비스.

물론 케이스는 너무 더럽고, 두 번을 닦아도 구리구리한 냄새도 춈 나고 --_--해서
신문지로 한 장 한 장 싸오는 유난을 떨고, 집에 오자 마자 케이스부터 갈았지만.
아니, 남은 게 이런 거면 앞에 팔린 것들은 대체 뭐였던 거야??? --_--

,

Bach: Concertos for Piano&Orchestra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Vol 1. BWV 1052, 1055, 1056
Vol 2. BWV 1053, 1054, 1058

한 대의 쳄발로와 현과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D minor BWV 1052  바이올린과 현과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E major BWV 1053  오보에와 현과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D major BWV 1054  바이올린과 현과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A major BWV 1055  오보에 다모레와 현과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F minor BWV 1056  바이올린과 현과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G minor BWV 1058  바이올린과 현과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나는 바흐에 한해서만 굴드를 듣지만,
정말 굴드의 바흐는 특별하다.
특히나 좋은 몇몇 연주는 하늘에서 내리는 1억개의 별; 처럼
한 음 한 음이 모두 반짝반짝 빛나며 떨어져 내리는데,,
바닥에 닿으며 녹아버리는 그 지점까지도 아름다운 거다. 막 아쉬워서 붙잡고 싶고.

아우. 좋은 시스템으로 듣고 싶다. T_T


,

Bach: Cantata, Karl Richt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 목소리는 거의 안듣는 취향이지만,
지난 밤에 자발적 의지 0%로 밤의 여왕의 아리아를 듣고 나니 문득 칸타타가 듣고 싶어서.

와- 이 음반 산 게 벌써 4 년 전인가. 딱 요맘때 샀다.
쯧, CD로 세월을 세다니. -_-

,

Bach: Sonatas & Partitas BWV 1001-1006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뭣도 모르던 시절 산, 내 첫 무반주 CD.
음.. 근데 셰링과 쿠이켄 사이에서 고민하다 결국 왜 쿠이켄을 샀는지는 까먹었다.

바흐를 좋아하지만 무반주첼로는 거의 듣지 않고 무반주 바이올린도 자주 듣지는 않는다.
분당에서 그림 배울때 그나마 가장 자주 들었던 이 음반은 특히나 빈속에 녹차마시는 기분,
딱 그거라서 일년에 한 번쯤 듣는데 오랜만에 들으니까 좀 덜하네?
그래도 역시 이 연주가  내 베스트는 아니다.


덧. 고전음악애호가인 모씨가 왜 그렇게 글을 아껴쓰는지 예전에는 이해가 안갔는데 이제는 이해가 간다.
,

Beethoven: Romance for Violin and Orchestra no.1&2


과거와 미래가 한 데 뒤섞여서 잠을 이루지 못하던 밤,
수면안대도, 귀마개도, 침대 옆 책장의 책들도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다.

갑자기 바이올린이 듣고 싶어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를 들자면 이런거다.
밥사주고 술멕이며 토닥거려주고,
마음에 위로가 될 말 한 마디 건네주는,
물먹은 솜같은 내 무게를 기댈 친구가 있는가 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 거 전혀 안하고 그냥 자기일을 한다.
군더더기란 전혀 없이 완전하게.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그런데 희한하게도 거기서 나아갈 방향을 찾고, 의지가 생길 때가 있다.

완전 멀리도 아니고, 딱 약올리는 거리에서
고고하게 혼자 핀조명 받으면서 연주하는 하이페츠의 모습이 마치 보이는 듯 했다.
당신은 정말 인간으로서는 도달하기 힘든 경지에 있군요.







,
|  1  |  2  |  3  |  4  |